- 고대역폭메모리주란 무엇인가요?
- 2025년에 HBM이 왜 이렇게 핫한가요?
- HBM과 GDDR6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 HBM3E 시장 규모는 얼마나 성장했나요?
- 선두기업의 최근 실적은 어떤가요?
- AI 반도체 붐의 수혜는 얼마인가요?
- 주요 고객사는 누구인가요?
- 원가 구조와 마진은 어떤가요?
- 2025년 1분기 ASP는 어떻게 변했나요?
- 공급 부족 리스크는 없나요?
- 정부 정책과 보조금은 어떤 영향을 주나요?
- HBM주 밸류에이션은 적정한가요?
- 잠재적 리스크는 무엇인가요?
- 향후 3년 성장 전망은 어떤가요?
- 개인 투자자 전략은 어떻게 세우면 좋을까요?
- 배당 및 주주환원 정책은 어떤가요?
고대역폭메모리주란 무엇인가요?
HBM주는 초고속 스택형 D램 규격인 High Bandwidth Memory를 설계·생산·패키징해
판매하는 기업의 주식을 통칭해.
대표로 SK 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이 있고, 패키징 특화업체인 ASE·Amkor
실리콘 인터포저 소재주인 Xperi 등도 묶여. 쉽게 말해,
GPU 옆에서 초당 수천GB를 토해내는 ‘AI 슈퍼메모리’를 만드는 회사들이야.
2025년에 HBM이 왜 이렇게 핫한가요?
AI 모델 매개변수가 수십억 개로 불어났지?
GPU가 연산을 해도 메모리 대역폭이 병목이면 속도가 안 나와.
그래서 1024bit 인터페이스로 819 GB/s 이상을 뿜는 HBM이 필수야.
올해는 엔비디아, AMD, 인텔이 모두 ‘HBM3E’ 탑재 GPU를 양산해.
덕분에 2025년 HBM 총 수요는 전년 대비 68% 늘었고, 생산능력은 이미 2025 물량 전량 ‘완판’됐어.
이 정도면 핫할 수밖에 없지.
HBM과 GDDR6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둘 다 D램이지만 구조가 달라.
GDDR6는 칩을 기판에 평평하게 붙이고 32bit 인터페이스를 여러 개 병렬로 묶어.
반면 HBM은 D램 다이를 세로로 12층까지 쌓아 TSV로 연결해.
그래서 동일 전력에서 대역폭은 3배, 폼팩터는 3분의 1로 줄어.
발열·소비전력 측면에서 GPU·AI ASIC에 최적화됐다는 점이 핵심 차이야.
HBM3E 시장 규모는 얼마나 성장했나요?
시장조사업체 GMI에 따르면 2024년 HBM 시장 규모는 23억 달러였는데
2025년엔 42억 달러로 점프할 전망이야.
연평균성장률은 26%대.
특히 HBM3E 물량만 보면 2024년 1억4천만 GB에서
2025년 3억 GB로 2배 넘게 뛴다니까 정말 무서운 성장 속도야.
선두기업의 최근 실적은 어떤가요?
SK 하이닉스는 2025년 1분기 매출 17조6391억 원
영업이익 7조4405억 원으로 영업이익률 42%를 찍었어.
매출의 43%가 HBM·AI DRAM에서 나왔지.
삼성전자는 메모리 부문 영업이익이 5조원대로 6분기 만에 흑자 전환했고
마이크론은 분기 매출 87억 달러, 순이익률 18%를 공시했어.
세 회사 모두 ‘HBM 완판’ 덕에 실적 모멘텀을 잡았다는 게 공통점이야.
AI 반도체 붐의 수혜는 얼마인가요?
NVIDIA H200 GPU 한 장에 HBM 용량이 188GB 붙어.
글로벌 클라우드 5대사가 발표한 2025년 AI GPU 증설 계획만 합쳐도
42만 장 규모라 계산하면 HBM 수요가 79만 TB 이상이야.
여기에 엣지 AI, 자동차용 ADAS까지 더하면 작년 대비 수요가 2배는 그냥 뛰지.
주요 고객사는 누구인가요?
NVIDIA·AMD·인텔 같은 GPU 빅 3가 기본이야.
그 외에도 아마존·구글·마이크로소프트·메타가 자체 AI ASIC에 HBM을 얹고 있어.
자동차 쪽은 테슬라와 현대모비스가 자율주행 칩에 HBM3E를 채택했고
중국 바이트댄스·알리바바도 독자 AI 칩 시제품에 HBM을 올렸다는 소식이야.
원가 구조와 마진은 어떤가요?
HBM은 다이 스택·마이크로범프·TSV 공정 등 복잡한 뒤판 작업 때문에
제조원가가 DDR5 대비 6배 높아.
그래도 판매가격은 8배라서 이익률이 좋아.
SK 하이닉스의 경우 HBM3E 원가율이 55%라 영업이익률 45% 수준이 나와.
삼성·마이크론도 원가율 60% 근처야.
2025년 1분기 ASP는 어떻게 변했나요?
HBM3E 16GB 스택 기준 평균판매가격이 620 달러였는데
작년 동기 441 달러 대비 41% 올랐어.
공급이 달려서 계약마다 5%~10% 추가 할증이 붙는 상황이야.
GPU 업체 입장에선 메모리를 못 구하면 출하가 막히니 울며 겨자 먹기로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셈이지.
공급 부족 리스크는 없나요?
SK 하이닉스·삼성·마이크론 3개사가 전 세계 HBM 캐파 100%를 쥐고 있어.
12hi 스택 전용 장비는 18개월 이상 전납이 걸려.
그래서 신규 공급 증설이 빨라야 2026년에나 가시화돼.
만약 장비 딜레이나 수율 이슈가 생기면 가격 급등이 재현될 수 있어.
정부 정책과 보조금은 어떤 영향을 주나요?
미국 CHIPS Act 2.0에 HBM 생산라인 투자 세액공제 25%가 신설됐고
한국 정부는 ‘K-메모리 클러스터’에 HBM 장비 투자액의 20%를 즉시 환급해줘.
덕분에 2조 원 규모 증설 CAPEX 부담이 크게 줄어 수익성 방어에 도움이 돼.
HBM주 밸류에이션은 적정한가요?
SK 하이닉스 주가는 18만 원, 2025년 예상 EPS 4100 원 기준 PER 44배야.
역사적 밴드 상단이 38배인 걸 감안하면 프리미엄이 붙었지.
삼성 메모리 부문 PER는 29배, 마이크론은 31배 수준이야.
시장은 ‘HBM 독점 프리미엄’을 5배 정도 더 쳐주는 셈이야.
잠재적 리스크는 무엇인가요?
첫째, 검증 실패. 12hi HBM3E는 발열·와퍼 히트스팟 문제가 심해.
둘째, AI 투자 사이클 둔화. 클라우드 CSP가 Capex를 줄이면 수요가 급감할 수 있어.
셋째, 중국발 신규 진입. 창신메모리가 2027년 양산 목표를 공개했거든.
향후 3년 성장 전망은 어떤가요?
Yole Group은 2024~2027년 HBM 매출 CAGR을 28%로 본다더라.
2027년 매출 109억 달러, 영업이익률 48% 전망이야.
HBM4가 2027년 상반기에 들어오면 대역폭이 HBM3E의 2배라 ASP 상승 여력도 충분해.
개인 투자자 전략은 어떻게 세우면 좋을까요?
(1) ‘분기 실적 YoY 30%+’를 꾸준히 확인하고, 못 맞추는 분기엔 비중을 줄여.
(2) 엔비디아·AMD의 신규 GPU 출시 전 3개월을 ‘모멘텀 구간’으로 보고
주가가 조정 나오면 분할로 줍는 전략이야.
변동성은 크지만 성장 서사가 튼튼할 땐 수익률이 좋아.
배당 및 주주환원 정책은 어떤가요?
삼성전자는 DPS 1570 원, 배당성향 24%로 유지 중이고
SK 하이닉스는 아직 배당을 안 주지만 2026년부터 중간배당을 검토 중이야.
마이크론은 주당 0.46 달러 배당
배당성향 12% 수준.
HBM라인 증설이 끝나야 더 공격적인 환원이 기대돼.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전력반도체주 지금 담아야 할까? EV·재생에너지 60% 수요폭발로 치솟는 SiC·GaN !!! (3) | 2025.05.22 |
---|---|
2025 배터리 메탈 가격 급변동, 투자 기회와 리스크를 꿰뚫어보자!!!! (3) | 2025.05.22 |
2025 빅데이터인프라지원으로 데이터성장 가속~!!! (1) | 2025.05.22 |
2025 메타버스플랫폼주 투자 전략은???? (5) | 2025.05.22 |
2025년 RISC-VIP주 지금이 기회? 30% 성장률의 반도체 슈퍼주!!! (2) | 2025.05.22 |
2025 햅틱디바이스주 지금이 기회? 실적·시장전망은???? (5) | 2025.05.22 |